본문 바로가기

난(Orchid)

(508)
팔레놉시스 윌소니(Phalaenopsis wilsonii) - 화서호접(华西蝴蝶) 원산지 : 중국 서식환경 : 해발 800~2200m의 산지 또는 숲 개화시기 : 봄-여름 특징 : 화서호접이라는 이름으로 국내에 유통 향유무 : 향이 있음
칠로스키스타 루니페라(Chiloschista lunifera) - 거미란 원산지 : 히말라야, 태국, 아삼, 인도, 미얀마, 라오스 서식환경 : 해발 150~600m의 숲 개화시기 : 가을-겨울(한국에서는 불규칙적으로 개화) 향유무 : 향이 있음 특징 1. 보통 잎이 없고, 뿌리로만 모든 활동을 하여 그 모습이 흡사 거미와 같아 거미란이라는 이름으로 유통(가끔 잎이 나오는 개체가 있음) 2. 꽃의 색상과 무늬가 다양함 구매하러 가기 칠로스키스타 루니페라 칠로키스타 거미난 거미란 : 가드닝하우스 [가드닝하우스] 서양난, 희귀난, 걸이식물, 희귀식물 전문 업체인 싱싱원예의 온라인 쇼핑몰 입니다. smartstore.naver.com
엔씨클리아 알라타(Encyclia alata) 원산지 : 코스타리카, 멕시코 서식환경 : 해발 0~1,000m의 숲 개화시기 : 봄(가을에 개화 하기도 함) 특징 : 독특한 색상의 꽃 향유무 : 향이 있음(달콤한 꿀과 모과를 섞은듯한 향)
덴드로비움 핸콕키(Dendrobium hancockii) - 죽엽석곡(竹葉石斛) - 세엽석곡(细叶石斛) 원산지 : 중국 남부 서식환경 : 해발 200~1,600의 숲, 계곡 개화시기 : 봄, 초여름 특징 : 국내에서는 죽엽석곡 또는 세엽석곡이라는 이름으로 유통(화형의 미세한 차이에 따라 죽엽과 세엽을 분류 하기도 하지만 큰 의미는 없어서 동의어처럼 굳어짐) 향유무 : 향이 있음(달콤한 향)
덴드로비움 크리스톡숨(Dendrobium chrysotoxum) - 고추석곡(鼓槌石斛) 원산지 : 동부 히말라야, 방글라데시, 미얀마, 라오스, 태국, 베트남, 중국, 인도 등 서식환경 : 해발 400~1,600m의 산지 개화시기 : 겨울-봄(한국에서는 주로 봄) 특징 : 벌브가 북채처럼 힘있게 생겼다고 고추석곡이라고 하기도 함 향유무 : 향이 있음 구매하러 가기(굴피 부작)
팔레놉시스 타잉 신 큐피드(Phalaenopsis Tying Shin Cupid) 원산지 : Phalaenopsis Sogo Lawrence X Phalaenopsis Kuntrarti Rarashati 서식환경 :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반그늘 개화시기 : 연중수시(불규칙적) 특징 1. 타잉 신 큐피드도 여러가지 버전이 있음 2. 꽃의 수명이 2~3개월로 긴편 향유무 : 향이 있음
소프로랠리오카틀레야 레드돌(Sophrolaeliocattleya Red Doll) 원산지 : Psyche x coccinea 서식환경 : 빛이 잘드는 따뜻한 반그늘 개화시기 : 연중수시 특징 : 교배종이라 꽃의 모양이나 형태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국내에 유통되는 종은 거의 고착화된 상태 향유무 : 향이 없음
막실라리아 테누이폴리아(Maxillaria tenuifolia) 원산지 : 중앙 아메리카 서식환경 : 습한 숲 개화시기 : 봄, 겨울(한국에서는 봄-초여름) 특징 1. 강한 향을 가지면서도 꽃의 수명이 긴편이고 2. 꽃이 피어 있는 동안 벌브에서 양분을 끌어다 쓰기 때문에 점차 벌브가 쪼그라 들며, 꽃이 지면 서서히 회복하는데 보통 6~10개월 정도 걸림 향유무 : 향이 있음(커피향)
펠라탄세리아 스코로펜드리폴리아(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) - 지네발란(한국) 원산지 : 한국, 일본, 중국 안후이, 산동, 홍콩 서식환경 : 해발 100~1,000m의 숲속의 나무나 바위에 착생 개화시기 : 봄-여름 특징 1. 모양이 지네의 발 모습과 같다고 하여 지네발란으로 불림 2. 국내에서는 제주도나 진도 등 일부지역에서만 자생을 하는데, 현재 멸종보호위기종이기 때문에 귀한 품종 3.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, 중국 등에서도 멸종보호위기종 4. 재배가 어려움 5. Cleisostoma속으로 분류하기도 함 향유무 : 향이 없음
펠라탄세리아 스코로펜드리폴리아(Pelatantheria scolopendrifolia) - 지네발란(중국) 원산지 : 한국, 일본, 중국 안후이, 산동, 홍콩 서식환경 : 해발 100~1,000m의 숲속의 나무나 바위에 착생 개화시기 : 봄-여름 특징 1. 모양이 지네의 발 모습과 같다고 하여 지네발란으로 불림 2. 국내에서는 제주도나 진도 등 일부지역에서만 자생을 하는데, 현재 멸종보호위기종이기 때문에 귀한 품종 3.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, 중국 등에서도 멸종보호위기종 4. 재배가 어려움 5. Cleisostoma속으로 분류하기도 함 향유무 : 향이 없음 구매하러 가기 지네발난 지네발란 홍콩 중국 펠라탄세리아 스코로펜드리폴리아 : 가드닝하우스 [가드닝하우스] 서양난, 희귀난, 걸이식물, 희귀식물 전문 업체인 싱싱원예의 온라인 쇼핑몰 입니다. smartstore.naver.com
브라소랠리오카틀레야 알마키(Brassolaeliocattleya Alma Kee) 원산지 : Lc. Alma x Blc. Cheah Bean-kee 서식환경 : 빛이 잘들고 따뜻한 반그늘 개화시기 : 연중수시 특징 : 꽃이 큰 대형종 향유무 : 향이 없음
아스코센트럼 엠플라세움(Ascocentrum ampullaceum ver. aurantiacum) 원산지 : 중국 중부, 히말라야 서부, 히말라야 동부, 방글라데시, 인도 아삼, 네팔, 미얀마, 태국 등 서식환경 : 해발 300~1,500m의 아열대 숲 개화시기 : 봄~여름 특징 : 잎 끝의 모양이 새의 혓바닥 모양 같다고 조설란으로 불림 향유무 : 향이 없음
덴드로비움 카나리쿨라툼 하이브리드(Dendrobium Canaliculatum Hybrid) 원산지 : unknown(태국에서 원종이라고 수입 하였으나 원종과 꽃이 차이가 있어 하이브리드 종으로 추정됩니다. 개인적으로는 Dendrobium crispilinguum과의 교배종이 아닌가 생각 됩니다.) 서식환경 : unknown 개화시기 : 봄 특징 : unknown 향유무 : 향이 있음(미향)
덴드로비움 티안 무 다이아몬드(Dendrobium Tian Mu Diamond AM/AOS) 원산지 : Den. Himezakura x Den. Yukidaruma 서식환경 : 일반 덴드로비움과 동일 개화시기 : 봄 특징 1. 녹색으로 개화하여 꽃잎이 흰색으로 변함 2. 2009년에 AM/AOS 수상 향유무 : 향이 있음
덴드로비움 스프링 주얼 미키(Dendrobium Spring Jewel 'Miki') 원산지 : Den. Mild Yumi x Den. Hatsushimo 서식환경 : 일반적인 덴드로비움과 동일 개화시기 : 봄 특징 : 꽃잎의 끝에 살짝 핑크색상이 들어가고 꽃의 수명이 긴편 향유무 : 향이 있음(미향)
파리쉬 알바(Dendrobium parishii var. alba) 원산지 : 중국, 아삼, 방글라데시, 히말라야, 태국, 라오스, 베트남 서식환경 : 해발 250~1,700m의 저지대 숲이나 산지 개화시기 : 5~6월 특징 : 재배가 쉬운편이고 빛을 좋아함 향유무 : 향이 있음(굉장히 향기로운 향)
덴드로비움 라가룸(Dendrobium lagarum) 원산지 : 태국, 라오스, 중국, 인도 서식환경 : 해발 300~600m 정도의 숲 개화시기 : 가을-겨울 향유무 : 향이 없음 특징 1. 잎이 루이시아와 비슷하게 생김 2. 해외에도 알려진 것이 거의 없는 난
덴드로비움 크루메나텀(Dendrobium crumenatum) 원산지 : 홍콩, 대만, 인도, 스리랑카, 미얀마, 태국, 말레이시아, 캄보디아, 라오스, 베트남 뉴기니, 수마트라 등 아시아 각지에서 발견 서식환경 : 해발 500m 정도의 저지대 숲 개화시기 : 여름에 높은 온도에 있다가 비가 온 후 온도가 하락하면 개화한다고 알려져 있음 특징 : 꽃의 수명이 24시간으로 매우 짧고, 일년에 여러차례 개화 향유무 : 향이 있음(달콤한 크레파스 향 같은 좋은 향)
덴드로비움 브리메리아눔(Dendrobium brymerianum) - 장소석곡(長蘇石斛) 원산지 : 미얀마, 태국, 라오스, 베트남, 인도, 중국 운남 지방 서식환경 : 해발 1,100~1,900m의 숲 가장자리 개화시기 : 여름-가을 특징 : 중국에서는 장소석곡(長蘇石斛)이라고 부름 향유무 : 향이 있음(강하지는 않지만 좋은 향)
덴드로비움 팔코네리(Dendrobium falconeri) - 관주석곡(串珠石斛) - 개미석곡 원산지 : 태국, 미얀마, 대만, 인도, 중국 남부 지방, 히말라야 서식환경 : 해발 800~1,900m의 계곡 또는 울창한 숲 개화시기 : 봄 특징 1. 재배가 난이도가 어려움 2. 다른 석곡들에 비해 물을 좋아함 3. 줄기가 잘록잘록하게 마디가 있는 것이 특징 4. 중국에서는 줄기의 생김새가 구슬을 꿰고 있는 것 같다고 하여 관주석곡이라 부르며, 한국에서는 개미의 허리 같다고 하여 개미석곡으로 많이 알려져 있음 향유무 : 향이 있음